풍선에 가해지는 압력, 부력, 중력
풍선의 내부와 외부 압력은 1기압으로 같다고 가정합니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풍선과 끈의 부피와 질량은 ‘0’으로 가정합니다. 풍선에 가해지는 압력 위 시뮬레이션에서는 풍선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동일한 1기압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풍선을 이루는 고무의 탄성으로 인해 내부 … more
Science Simulations
풍선의 내부와 외부 압력은 1기압으로 같다고 가정합니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풍선과 끈의 부피와 질량은 ‘0’으로 가정합니다. 풍선에 가해지는 압력 위 시뮬레이션에서는 풍선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동일한 1기압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풍선을 이루는 고무의 탄성으로 인해 내부 … more
빨대 속의 음료수는 빨려 올라오는 것일까요? 밀려 올라가는 것일까요? ‘빨대’라는 말은 ‘빨아올리는 대롱’이란 뜻입니다. 즉, 내가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세면 셀수록 얼마든지 높은 곳에서도 빨아 올릴 수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그 느낌은 사실과 다릅니다. 사실, … more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힘을 압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어떤 두 지점에 가해지는 힘이 같은 경우 면적이 넓어질수록 압력은 작아집니다. 반대로 면적이 좁아질수록 압력은 커집니다. 운동화에 비해 뾰족한 구두에 밟힌 경우, 더 아픈 것도 이 때문입니다.
바이메탈 바이메탈은 열팽창 정도가 다른 두 금속을 붙여 놓은 것으로, 바이메탈의 온도가 올라가면 열팽창 정도가 작은 쪽으로 휘어집니다. 이와 같은 바이메탈은 전기밥솥, 전기다리미 등에서 전원을 끊거나 연결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데 이용됩니다.
전도 열의 ‘전도’는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움직임이 이웃한 입자에 차례로 전달되어 열이 이동하는 방법입니다. 입자가 이동하지 않아도 열은 전달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입자 간의 진동이나 충돌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전도의 예 뜨거운 국물에 금속 숟가락을 넣으면, … more
방 안의 대류 열의 이동 방식에는 전도, 대류, 복사가 있습니다. 이중 대류는 액체나 기체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가 직접 이동하면서 열이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대류 현상은 우리 생활 주변에서 자주 관찰할 수 있습니다. 냄비의 물을 바닥만 가열해도 대류 … more
온도에 따른 입자의 움직임 우리 주변의 물질은 매우 작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는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는 온도가 높을수록 움직임이 활발합니다. 찬물보다 뜨거운 물에서 물 입자가 더 활발하게 움직이므로 찬물보다 뜨거운 물에서 잉크가 더 빨리 … more
기체 분자 운동 장치 기체 입자는 모든 방향으로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기체를 관찰할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기체 입자가 아주 작기 때문입니다. 기체 분자 운동 장치는 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 입자를 쇠구슬 등으로 대체하여 … more
끓는점과 물질의 특성 물은 질량이 달라도 가열하면 모두 100℃에서 끓기 시작합니다. 이처럼 같은 종류의 물질은 양에 관계 없이 끓는점이 같습니다. 하지만 물질의 종류가 다르면 끓는점도 다릅니다. 이처럼 물질은 다른 물질과 구별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질을 구별하는 … more